학위 | 서울대학교 사회학 학사, 석사, 뉴욕주립대(버팔로) 사회학 박사 |
전공분야 | 정보사회학, 문화사회학, 정치사회학 |
약력 |
2004.9 - 현재: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7.1-12. 한국비판사회학회 부회장 2008.12 - 현재: 한국문화사회학회 편집위원 2007.1 - 2007.12: 한국사회학회 이사 2007.1 - 2007.12: 한국비판사회학회 이사 |
연구업적 |
(1) 국제 학술논문 Hangwoo Lee. 2006. "Privacy, Publicity and Self-Presentation in an Online Group". Sociological Inquiry 76(1): 1-22. Hangwoo Lee. 2005. "Behavioral Strategies for Dealing with Flaming in an Online Forum." The Sociological Quarterly 46(2): 385-403. Hangwoo Lee. 2005. "Implosion, Virtuality, and Online Interaction in an Internet Discussion Group."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ociety 8(1): 47-63. Hangwoo Lee. 2002. "No Artificial Death, Only Natural Death: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Usenet Newsgroups." The Information Society 18(5): 361-370. (2) 국내학술논문 이항우. 2020. “알고리즘과 빅 데이터: 코드와 흐름의 잉여가치” <<경제와 사회>> 125:261-295. 이항우. 2019. “정동과 자본: 담론, 일반 지성 그리고 정동 자본주의.” <<경제와 사회>> 122:243-277. 이항우. 2018. “블록체인의 디지털 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를 넘어 커먼주의로.”<<경제와 사회>> 120: 313-345. 이항우. 2018. “클라우드(Cloud)에서, 다시 크라우드(Crowd)로 피투피와 탈중심 인터넷의 복원점들.” <<경제와 사회>> 117: 146-174. 이항우. 2016. “‘이윤의 지대되기’와 정동 엔클로저: 구글과 페이스북의 독점 지대 수취 경제.” <<한국사회학>> 50(1): 189-219. 이항우. 2015. “자유/무료 노동의 화폐적 보상: 소액 결제 혹은 보편적 기본 소득.” <<경제와 사회>> 107: 323-351. 이항우. 2014. “정동 경제의 가치 논리와 빅데이터 폴리네이션.” <<경제와 사회>> 104:142-173. 이항우. 2014. “구글의 정동 경제(Affective Economy)- 사용자 정동 노동의 동원과 전용.” <<경제와 사회>> 102: 208-236. 이항우. 2013. “동료 생산(peer production)과 시장: 디지털 공유 모델의 의의와 한계.” <<경제와 사회>> 99: 153-183. 이항우. 2012. “소셜 미디어, 사회운동의 개인화, 그리고 집합 정체성 구성: 페이스북 그룹 ‘함께 점령’ 사례 분석.” <<경제와 사회>> 95: 254-287. 이항우. 2012. “네트워크 사회운동과 하향적 집합행동: 2008년 촛불시위.” <<경제와 사회>> 93: 244-274. 이항우. 2012. “정치의 빈곤: 한국 진보개혁 사회정치 담론 실천의 성격(2005-6년, 2008-9년).” <<한국사회학>> 46(1): 156-193. 이항우. 2011. “이념의 과잉: 한국 보수세력의 사회정치 담론 전략(2005~2006년, 2008~2009년).” <<경제와 사회>> 89: 217-268. 이항우. 2011. “사회적 기업과 대안 경제- 청주지역 사회적 기업 ‘가온’과 ‘삶과 환경’ 사례 연구.” <<지역사회학>> 12(1): 31-57. 이항우. 2010. “신자유주의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와 정당성 문제.” <<경제와 사회>> 87: 172-203. 이항우. 2009. “네트워크 사회의 집단지성과 권위.” <<경제와 사회>> 84: 278-303 이항우. 2009. “온라인 사회관계: 웹 2.0의 사회연결망 사이트 이전과 이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3): 243-285. 이항우. 2009. "지구화, 인터넷 거버넌스, 그리고 ICANN." <<경제와 사회>> 82: 128-160 이항우. 2008. "사이버 폭력의 사회적 구성과 인터넷 실명제: 비판적 담론분석". <<경제와 사회>> 79: 112-155. 이항우. 2008. "잘못한 것이 없으면 숨길 것도 없다?":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의 실효성 비판. <<경제와 사회>> 77: 171-200. 이항우. 2007. "온라인 상호작용과 민주주의: 경합적 다원주의의 관점". <<경제와 사회>> 75. 이항우. 2006. "미니홈피와 비공식적 공적 생활의 조건: 공/사 경계의 조율." <<한국사회학>> 40(3): 124-154. 이항우. 2006. "개인정보 보호와 공유자원 관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17: 163-192. 이항우. 2005. "경합적 다원주의와 온라인 사회정치 토론: 양심적 병역거부 찬반담론의 분석", <<경제와 사회>> 68: 189-212. 이항우. 2004. "인터넷 문화와 온라인 상호작용 연구의 쟁점과 동향," <<정보화정책>> 11(1): 3-19. (3)국내 저역서 이항우. 2017. [정동 자본주의와 자유 노동의 보상: 독점 지대, 4차산업 그리고 보편적 기본소득]. 한울아카데미. 이항우. 2016. [보수의 이념 과잉 진보의 정치 빈곤: 한국 사회정치 담론구조와 전략(2000 ~ 2015)]. 충북대학교출판부. 이항우. 2013, [클릭의 사회학], 이매진. 이항우. 2011. [충북민주화운동사], 선인, (공저). 이항우. 2011, [정보사회의 이해]. 미래인. (공저). 이항우. 2006. [한국사회의 변동과 연결망]. 서울대학교출판부. (공저). 이항우. 2006. [현대 사회정치 이론]. 한울 아카데미. (역서). (4) 국제학술대회발표 Hangwoo Lee. 2019. “Digital Democracy and Faircoop`s Commonist Adoption of Blockchain.” 17th Globla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Commons. Lima. Peru. Hangwoo Lee. 2015. “Compensating for Free Digital Labor.” ISIS 2015 Vienna Summit. Vienna. Austria. Hangwoo Lee. 2014. “Value Logic of Affect and Exploitation: Big Data Pollination.”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Cyberspace 2014. Brno. Czech Republic. Hangwoo Lee. 2009. "N대-liberal Globalization and Internet Governance." GIGAnet Annual Conference. Brussel. Belgium. Hangwoo Lee. 2008. Information Self-Determination in Korea. IR 9.0: Rethinking Place, Rethinking Communities. Copen Hangwoo Lee. 2007. “Cyworld and Conditions for Informal Public Life.” IR 8.0: Let`s Play. Vancouver. Canada. Hangwoo Lee. 2006. “Online Discussion: Deliberative Democracy or Agonistic Pluralism?” Internet 7.0: Internet Convergence. Brisbane. Australia. |
학위 |
1998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학사) 2000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2008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박사) |
전공분야 | 시민사회와 사회운동, 농식품사회학, 사회적경제, 지역사회학 |
약력 |
2016. 3 ~ 현재 :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 2018. 1 ~ 2019.12 :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학과장 2013. 4 ~ 2016. 2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산학연구처 조교수 2020. 1 ~ 현재 : 한국농촌사회학회 편집위원장 2019. 1 ~ 2019.12 : 한국사회학회 이사 2016. 1 ~ 2019.12 : 한국환경사회학회 편집위원 2015. 1 ~ 2019.12 : 비판사회학회 이사 2015. 1 ~ 현재 : 한국농촌사회학회 이사 2015. 1 ~ 현재 : 지역사회학회 이사/편집위원 |
연구업적 |
<논문> 2020. “충청북도 농촌 사회적경제의 현황과 발전방안 :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농촌사회』 30(1) 2019. “협동조합 먹거리체계의 지속가능성과 회복력: 한살림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29(2) 2019. “먹거리 커먼즈와 청주시 지역먹거리정책의 방향” 『환경사회학연구 ECO』 23(1) 2019.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속가능성과 협력 네트워크 조직의 관계”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1) 2019. “Female Peasants and Alternative Agri-food Move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Rural Studies 3(2) (공저) 2017.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역 시민사회의 조건 탐색- 춘천시에서 누가 사회적경제를 지지하는가?” 『지역사회학』 18(3). 2017. “사회운동의 미시적 결과와 정치화: 2008년 촛불집회 청소년 참여자의 분화와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8(2). 2016. “로컬푸드운동을 사회적경제 생태계로 확장하기: 농식품시티즌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26(2). 2015. “사회적경제와 지역발전: 혁신, 호혜, 협력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49(5). 2015. “한국의 사회적경제: 제도화의 정치과정과 지역화 전략”『지역사회학』16(1). 2015. “농업시민권을 통한 식량주권 실현: 친환경농업 생산자 조사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19(1). (김흥주, 김선업과 공저) 201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주체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의의” 『한국지역사회복지학』51. (김철규와 공저) 2013. “대안가치지향 귀농귀촌인의 사회적 특성과 역할” 『농촌사회』23(2) (김철규와 공저) 2013. “한·일 소비자의 먹거리 불안과 대안 먹거리에 대한 인식 및 소비성향 비교” 『농촌사회』23 (1). (김선업과 공저) 2013. “유기농 시장의 소비자 특성 연구” 『산업경제연구』26(3). (김선업과 공저) 2013. “The Struggle for Food Sovereignty in South Korea” Monthly Review-An Independent Socialist Magazine 65(1). (with B. Yoon and W. Song) 2012. “4대강사업과 지역개발의 정치” 『환경사회학연구 ECO』16(2). 2012.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경제와사회』96. 2012. “농촌지역개발사업 성과의 차이와 농촌사회 발전에 대한 함의” 『농촌사회』22(2). 2012. “한국의 먹거리 보장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사회연구』32(2). (김흥주와 공저) 2012. “먹거리 불안과 관련 소비행위의 사회계층적 분화” 『농촌사회』22(1). (김선업과 공저) 2012. “로컬푸드와 지역운동 네트워크의 발전: 원주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13(2). (김흥주 와 공저) 2010. “촛불집회 10대 참여자의 정체성과 사회의식의 변화” 『경제와사회』85. (김철규와 공저) 2010. “사회적 경제의 지역화: 대안적 지역사회발전과 복지의 관점에서” 『지역사회학』11(2). 2010. “Teenage Participants of the 2008 Candlelight Vigil: Their Soci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Political Views” Korea Journal 50. (with C. Kim) 2009. “농촌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농촌지역개발사업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사례로” 『농촌 사회』19(1). 2008. “촛불집회 10대 참여자들의 참여 경험과 주체 형성”『경제와사회』80. <저역서> 2019. 『시장과 협력 : 사회적기업과 사회적경제의 탐색』. 나남 (공저) 2016. 『세계 농업과 먹거리의 정치경제학』. 따비 (공역) 2015. 『한국의 먹거리와 농업: 한국 농식품체계의 과거와 현대 그리고 대안 』. 따비 (공저) 2014. 『청년세대의 통일의식 조사』. (재)한국청년정책연구원. (공저) 2013. 『먹거리와 농업의 사회학』. 따비 (공역) 2012. 『새로운 농촌사회학』. 집문당 (공저) 2011. 『사회문제의 이해』. 대왕사 (공저) 2011.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방안 연구』. 한국사회학회 (공저) 2008. 『촛불집회와 한국사회』. 문화과학사 (공저) |
학위 |
1999. 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2002. 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2011. 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 |
전공분야 | 젠더와 성의 사회학, 역사사회학, 정책과 사회운동 |
약력 |
2017. 9 ~ 현재: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2016. 12 ~ 2017. 8: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2015. 9 ~ 2016. 7: Kluge Fellow, John W. Kluge Center, Library of Congress 2011. 11 ~ 2015. 8: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
연구업적 |
Jeong-Mi Park. 2019. "Liberation or Purification? Prostitution, Women's Movement and Nation Building in South Korea under U.S. Military Occupation, 1945-1948", Sexualities 22(7-8) 박정미. 2018. 하수도, 피해자, 위험(에 처)한 여자: 19-20세기 초 '의료-도덕 정치'와 성매매정책의 형성. 사회와 역사. 120. 박정미. 2017. 성매매의 세계화와 페미니즘 정치: 초국적 성매매에 관한 연구, 논쟁, 운동. 페미니즘연구 17(1). 박정미. 2017. '무작정 상경': 서울 이주자에 관한 담론과 젠더. 사회와 역사. 113. 박정미. 2017. 금욕에서 예방으로: 2차 세계전쟁기 미군의 성병통제, 생명권력과 젠더. 경제와 사회. 113. 박정미. 2017. 잊혀진 자들의 투쟁: 한국 성판매여성들의 저항의 역사. 역사비평. 118. Kim, Jung Han and Jeong-Mi Park. 2017. "Subjectivation and Social Movements in Post-Colonial Korea." in Stefan Berger and Holger Nehring. (eds.). The History of Social Movements in Global Perspective. Palgrave Macmillan. 박정미. 2016. 쾌락과 공포의 시대: 1980년대 한국의 '유흥향락산업'과 인신매매. 여성학논집. 33(2). 박정미. 2015. 한국 기지촌 성매매정책의 역사사회학, 1953-1995년: 냉전기 생명정치, 예외상태, 그리고 주권의 역설. 한국사회학. 49(2) (재수록: 송연옥, 김귀옥 편. 2017. 식민주의, 전쟁, 군'위안부. 선인). 박정미. 2014. 성 제국주의, 민족 전통, 그리고 '기생'의 침묵: '기생관광' 반대운동의 재현 정치, 1973-1988년. 사회와 역사. 101 (재수록: 김상현 편. 2017.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으로의 초대. 한양대학교 출판부). 박정미. 2014. 발전과 섹스: 한국 정부의 성매매관광정책, 1955-1988년. 한국사회학. 48(1). Jeong-Mi Park. 2013. "Paradoxes of gendering strategy in prostitution policies: South Korea's "toleration-regulation regime," 1961-1979." Women's Studies International Forum. 37. 박정미. 2012. "음행의 상습 없는 부녀"란 누구인가? 형법, 포스트식민성, 여성 섹슈얼리티, 1953-1960년. 사회와 역사. 94 (재수록: 홍양희 외. 2016. '성'스러운 국민. 서해문집). 박정미. 2011. 한국전쟁기 성매매정책에 관한 연구: '위안소'와 '위안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7(2). 박정미. 2011. 식민지 성매매정책의 단절과 연속: '묵인-관리 체제'의 변형과 재생산. 페미니즘연구. 11(2) (재수록: 이병천, 정근식 편. 2012. 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2. 책세상). 박정미. 2008. 성매매에 관한 페미니즘 이론.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워킹페이퍼. 12. 박정미. 2007. 미군 점령기 오키나와의 기지 성매매와 여성운동. 사회와 역사. 73 (재수록: 임현진 외. 2008. 기지의 섬, 오키나와: 오키나와 미군기지의 정치사회학 제1권. 논형). |
강연 및 발표 |
“Making Patriotic Prostitut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ies on Prostitution for the U.S. Military.” The John W. Kluge Center, the Library of Congress, July 28, 2016. “Making Patriotic Prostitut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ies on Prostitution for the U.S. Military.” Sigur Center for Asian Studies,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April 29, 2016. "Liberation or Purification? Prostitution, Women’s Movement, and Nation Building in Postcolonial Korea (1945-1948)."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pril 3, 2016. |
학위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부 학사 (200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석사 (2008)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 (2016) |
전공분야 | 환경사회학, 과학기술사회학, 도시사회학 |
약력 |
2018.3.- 현재. 충북대 사회학과 조교수 2018.2.- 현재. 한국환경사회학회 총무이사 2019.1.- 현재. 경제와사회 편집위원 2016.10.- 현재.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2016.9.-2018.2. 서울대 SSK 고령사회연구단 전임연구원 |
연구업적 |
2019. 『한국원자력발전 사회기술체제: 기술, 제도, 사회운동의 공동구성』. 한울 2013. 해방 이후 한국의 환경문제. 한국환경사회학회 엮음.『환경사회학이론과 환경문제』. 한울. (공저) 2013. 한국 환경운동의 역사. 한국환경사회학회 엮음. 『환경운동과 생활세계』. 한울. (공저) 2014. Environmental Problems in South Korea. GWEC editorial working committee. A General World Environmental Chronology. Suirensha. (공저) |
주요논문 |
2020. 기후불평등에서 체제 전환으로: 기후정의 담론의 확장과 전환 담론의 급진화. 《ECO》24(1): 7-50 2020. 동북아 수퍼그리드와 에너지전환의 경로. 《공간과사회》30(1): 247-282 2019.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과 에너지 커먼즈의 가능성. 《ECO》23(1): 75-105 2019. 경유화물차 축소를 위한 전환 관리의 방향 모색: 유가보조금 제도 개편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29(2): 246-282 (공저) 2018. 생태적 복지 커먼즈의 이상과 현실: 한살림서울의 돌봄사업을 중심으로. 《ECO》22(1): 243-276 2018. 전환적 사회혁신과 고령사회 대응: 도시 녹색 공유재를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17호: 317-348 2017. 수출주의 축적체제에서의 생태위기에 관한 시론적 연구: 환경적 조정전략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27(2): 185-225 2017. 에너지 전환 전략의 분화와 에너지 공공성의 재구성: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중심으로. 《ECO》 21(1): 147-187 2017. 반핵운동의 분할포섭과 혼종적 위험 거버넌스의 형성: 2003~05년 방사성폐기물처분장 부지 선정 과정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114호: 261-295 2017. 방사능방재계획의 쟁점과 개선방향: 재난 취약자 보호조치를 중심으로. 《Crisisonomy》 13(5): 107-122. 2016. 사회기술적 조정과 원전체제의 다양성: 원전 산업구조와 규제양식을 중심으로. 《서양사연구》 제55집: 153-190. 2016. 발전국가와 원전산업의 형성: 한국 전력공사 중심의 원전 산업구조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공간과사회》 26(1): 273-308. 2014. 한국의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시티즌십: 유형과 특징. 《ECO》 18(1): 7-44. (공저) 2014. 민주화 이후 한국 환경운동의 제도화와 안정화: 저항사건분석(protest event analysis)를 중심으로. 《ECO》 18(1): 151-186. (공저) 2013. 한국 환경운동의 성장과 분화: 제도화 논의를 중심으로. 《ECO》 17(1): 79-120. (공저) 2011. 새만금 사업의 사회적 영향: 2006년 끝물막이 공사 이후를 중심으로. 《ECO》 15(2): 39-80. (공저) 2010.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태안지역의 사회경제적 변동: 사회적 재난의 파편화와 사사화. 《공간과사회》 34: 142-180. (공저) 2009.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한 사회갈등: 갈등의 제도화와 공동체의 해체. 《ECO》 13(1): 7-47. (공저) |
학위 |
연세대학교 사회학 학사 (1997) 영국 서섹스대학교 이주학 석사 (2008)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지리학 (이주학) 박사 (2017) |
전공분야 | 이주학(Migration Studies), 인권사회학, 노동사회학, 질적연구방법론 |
약력 |
2020.3- 현재 충북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2017.9-2020.2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BK21PLUS 박사후연구원 2017.9-2020.2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학부, 글로벌인재학부, 사회학과 강사 2001.3-2005.4 Equality Trade Union- Migrants’ Branch 1998.12-2001.3 이주노동자 샬롬의 집 (현 남양주시외국인복지센터) |
연구업적 |
논문 Seo, S. (2019) “Temporalities of class in Nepalese labour migration to South Korea”, Current Sociology 67(2) 186-205. Seo, S. and Skelton, T. (2017) “Regulatory migration regimes and the production of spaces: the case of Nepalese workers in South Korea”, Geoforum (78): 159-168. 저서 Seo, S. (2019) “Space of emancipation or space of insecurity?: gendered dimensions in “Nepal Town”, South Korea”, a book chapter in International Labour Migration in the Middle East and Asia: Inclusion and Exclusion, Singapore: Springer Seo, S. (2017) “Migration, urban space and intercultural relations: Nepalese communities in South Korea”, a book chapter in Intercultural Perspectives in the Multicultural Era: Value & Life World, Seoul: CMPress Seo, S. (2012) “Transnational migration, social activism and the formation of new subjectivities: a case study of Nepalese migrants returned from South Korea”, a book chapter in Global Civil Society: Shifting Powers in a Shifting World, Uppsala Sweden: Uppsala University 서선영 (2010) “이주노동자와 민주노조운동: 이주노동 20년 역사 속에서 오늘을 본다.” 더 아래로, 더 왼쪽으로-위기의 노동운동, 서울: 메이데이 학술대회발표 (최근 3년) 2019 “난민/이주민 구별짓기의 정치: 예멘 출신 난민 신청자들의 노동시장 경험 연구”, 한국이민학회, 12월 27일 2019 “(비)이동성의 정치: 예멘출신 난민 신청자들의 제주에서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회, 11월 15일 2019 “I’m a worker from Monday to Friday, but a traveler on weekend”: changing class identities of young migrants in South Korea, Asian Studies on the Pacific Coast (ASPAC) Conference “Reimagining Asia: Innovation and Reflection”, Saint Mary’s College of California, USA, 8 June 2019 2019 “노동 이주와 초국적 도시 공간의 풍경들: 카트만두 그리고 서울” 아시아지역리뷰 [다양성+ Asia] 제4회 콜로키움, 서울대학교 아시아 연구소, 3월 8일 2018 “젠더화된 이주와 초국적 공간: 한국의 네팔 공동체 사례 연구” 한국여성학회, 11월 17일 2018 “초국적 통치성과 불평등의 내면화: 네팔 이주노동자들의 출국 전 교육 연구” 비판사회학회, 10월 27일 2017 “Creating exclusionary spaces to enter the public: Spatial politics of Nepalese restaurants in globalising Seoul” at the workshop on “Migrants in Global Cities: Experiences from Asia, the Middle East and Europe” at the Asia Research Institute, Singapore, 31 October. 2017 “Body transformations in temporary labour migration: narratives of Nepalese migrants returned from South Korea” in the session “THE MIGRANT’S BODY: Exploring the Physicality of the Migration Experience” at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f Asia Scholars (ICAS) 10, Chiang Mai, Thailand, 21 July. |